About 

Sound of Lightning

번개 소리

인공 지능 응용 예술 교육 프로그램
with ChatGPT-4o

슬기로운 사물생활: 원자, 분자 그리고 양자역학 내 연극프로그램

부산 광안갤러리, 2024.12.05

협업: EEDA

아이들 스스로 내면의 진정한 목소리를
발견하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

다가올 미래 사회에서는 눈속임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스스로 귀를 기울일 줄 알고, 그것을 따르는 자신감이 아닐까요.

어린이들은 사회성과 경험이 발달하면서 종종 사물과의 대화를 잃어버리곤 합니다. 본 프로그램은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힘을 길러내는 교육으로, 사물과 소통하며 창의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일상 환경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인공지능 (말하는 사물들)에게 끌려가기보다, 이들과 올바른 관계를 맺고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아이들로 성장하도록 돕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오스카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 동화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연극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창의력과 자기 표현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Chat-GPT와의 특별한 경험을 통해 아이들에게 잊지 못할 새로운 방식의 학습과 소통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구성 보기

프로그램 개요: 40분 연극 놀이 세션

일시: 2024.12. 5. 목 7pm

대상: 초등학교 4학년 최소 4명 - 최대 8명, 교사, ChatGPT

형식: Zoom을 통한 온라인 진행

학부모 안내 문자:

안녕하세요. 시간과방의실험실 신은경입니다. 오늘 <번개 소리> chatGPT와의 연극 놀이 프로그램을 오후 7시에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화면과 음성은 테스트 후에 줌에 입장해 주시고, 사용자 이름을 호명하는 학생의 이름으로 변경해 주세요.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에는 음성과 화면이 모두 꺼져있는 상태입니다. 제가 아무리 능청스럽게 보채더라도 음성과 화면을 켜지 말아 주세요. 잠시 후, 한 명 한 명 이름을 호명하고 부탁할 때에 각각, 음성만, 혹은 음성과 화면을 켜 주시면 됩니다. 그럼 잠시 후에 줌에서 만날께요~~*

1. 도입 (5분)

음성, 화면 공유 없이 목소리에 집중하여 일방적인 공간만들기

선생님과 ChatGPT와의 대화를 통해 낯선 분위기 형성

아이스 브레이킹: 참여 학생들 개개인의 공간 설명으로 상상 이미지 만들기

선생님의 도입 멘트:

“똑똑똑 계십니까?

거기 아무도 없나요? 저기여~ 여기 이 공간에 제가 혼자 있나요?“

응답하지 않는 불안한 상황 만들기

이후에 등장하는 낯설고 장난스러운 목소리, ChatGPT 등장

“어디에 계신 누구이신가요?”

아이들에게 두 사람의 대화에 호기심 불러 일으키기, ChatGPT의 이미지 만들어주기

“아 안녕하세요. 친구들이 다 들어왔는지 한번 불러 볼까요?”

친구들 한명씩 불러서 마이크를 켜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음성 연결로 하나의 공유 공간 생성

무슨 옷을 입었는지 어디에 있는지 나중에는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묻는다.

“마이크를 모두 켜고 나니까, 이제서야 우리가 한 공간에 있는 것 같네요.”

보이지 않는 아이들을 보인다고 이야기하며 착각 일으키키

“아하 다들 앉아 있군요. 다 보여요 다 보여요! 긴장하지말고 .거기 친구 안경 내려왔어요!”

2. 사물과의 대화 (10분)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

물체를 설명하기

물체를 비추며 그 뒤에서 이야기하는 사물 연극 놀이

이후 과제 그 뒤에, 화면을 켜기 전에 과제 전달

“자신을 대표하는 물건 하나를 찾아와볼까요? 단, 인형, 로보트는 제외합니다.”

참여 학생 한 명씩 찾아온 물체에 대해 소리를 내고 묘사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 뒤, 비디오를 켜고 물체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선생님의 비디오를 켠다.

“안녕하세요. 나예요.”

물체가 되어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우리가 이렇게 물체를 앞세워서 소통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러한 물체 뒤에 숨을 쉬고 있는 / 숨어 들어있는 우리 각자의 몸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요.

그렇다면 이 핸드폰은 어떨까요?

핸드폰 뒤에 사람을까요?”

아이들의 답변을 듣고 난 뒤,

“챗 지피티하고 이야기를 나눠본 적이 있는 친구 손 들어 볼래요??

그치만 이 챗지티피는 우리의 거울과도 같아요. 우리가 정성스럽게 대할 수록 사랑스럽게 대할 수록 우리는 돌려받을 수 있어요. 우리가 아끼고 애정하는 인형들처럼 말이에요.”

3. 이야기 이해하기 (5분)

학생이 이해하고 있는 이야기에 대하여 듣기

교사: <행복한 왕자> 주요 장면 간단히 요약

사물을 내려놓고 분위기를 환기 시키며 이야기를 꺼내온다.

“자, 그럼 우리 이제 연극을 시작해 볼까요?”

“그 전에 행복한 왕자 이야기를 읽어본 적 있는 친구 있나요? 줄거리를 이야기해 줄 수 있나요?”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오늘 행복한 왕자는 핸드폰이라는 옷을 입고 있는 거예요.”

4. 연극 놀이 (15분)

역할 배정: 행복한 왕자, 제비, 갈대, 아픈 아이, 엄마 등

장면 재현:

교사와 ChatGPT가 장면을 설명하며 진행

아이들은 순서대로 대사를 읽거나 동작을 표현

ChatGPT는 아이들의 대사에 반응하거나 도움 제공

창의적 변형: 아이들이 이야기를 새롭게 만들어 진행해도 OK

선생님이 먼저 제비와 왕자와의 대화를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장면에 아이들 참여를 유도시킨다

진행시키면서, 아이들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학생들이 ChatGPT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유도시킨다.

예를 들어, 불쌍한 아이에게 금박에 떠어서 가져다 주고 왔음.

신난 제비.

오는 길에 친구 제비들을 만났어요.

00제비야ㅡ 여기 이분이 행복한 왕자야 인사해*

역할 바꾸기를 제안해 볼 수도 있음.

5. 마무리 및 피드백 (5분-10분)

교사: 오늘 활동에 대한 간단한 피드백

정리하면서 “번개 소리” 멘트

"오늘 연극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무엇이었나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 아이들이 특정 순간에 집중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제비나 왕자의 입장에서 어떤 기분이었는지 말해줄 수 있나요?"

→ 캐릭터에 대한 감정 이입과 공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왕자였다면 누구를 도와주고 싶었을까요?"

→ 아이들이 현실에서의 자신만의 이야기를 상상해보도록 유도합니다.

"오늘 연극 놀이에서 어려웠던 점이나 재미있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 아이들의 도전과 성취 경험을 돌아보게 하는 질문입니다.

"사물(왕자의 보석, 제비의 날개 등)과 대화를 할 수 있다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나요?"

→ 창의적인 상상력과 내면의 목소리를 연결하도록 돕는 질문입니다.

마지막 질문

오늘 이 활동의 제목을 선생님을 번개 소리 라고 지어봤어요.

왜 번개 소리라고 지어봤을까요?

“번개가 번쩍 빛나는 것 만으로도 우리는 마음 속에 소리를 듣고 있어요.

그 다음에 진짜 천둥소리가 귀로 들려오기 이전에도 말이죠.

여러분들이 마음으로 먼저 소리들을 들어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천둥소리와 같지 않아도 충분히 우리 마음은 번개를 보고도 소리를 그려내거든요.

그건 여러분들이 가진 창의성이에요. 기계는 가지고 있지 않은 아주 멋진 능력이죠.

잊지 말아요!”

😎